스마트팜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스마트팜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 이나래 기자
  • 승인 2017.06.19 13: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김인중 창조농식품정책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은 농업계에도 큰 화두다. 
올해로 정책 시행 4주년이 된 
스마트팜은 농식품 분야 4차 산업의 
핵심 원동력으로 꼽히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김인중 창조농식품정책관은 
스마트팜 보급을 통한 농업 인프라 
강화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국내에 스마트팜이 보급되기 시작한 지 올해로 4년차다. 스마트팜은 시설원예, 과수, 축산 분야로 나뉘는데, 농림축산식품부는 연말까지 스마트 시설원예 온실 면적을 4000ha까지 늘리겠다고 연초 업무보고에서 발표했다. 그동안 스마트팜 농가들 사이에서 개선 필요사항으로 꼽혔던 업체 간 기자재의 호환성 문제는 농식품부 주도로 해결 가닥이 잡혔다. 스마트팜 제어기(9종)과 센서(13종), 기타 ICT 기기(3종) 등 기자재 총 25종의 단체표준 등록을 완료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 김인중 창조농식품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의 연장선에서 스마트팜 지원 정책은 지속될 것이다”라고 본지 인터뷰에서 밝혔다.

 

올해 농림축산식품부의 스마트팜 확산 정책은?

정부는 2014년부터 ICT를 농업 시설에 접목한 스마트팜 보급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팜 시설 설치 비용의 50%를 보조하고, 맞춤형 교육과 컨설팅, A/S를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올해는 정책 4년 차를 맞아 스마트팜 보급 가속화, 수직형 농장 등 스마트팜 외연을 확대하고 연구개발 지원을 체계화할 것이다. 수출 전문 스마트팜 신축을 지원하고, 낡고 영세한 스마트팜 시설은 기술 집약적 스마트팜 단지로 탈바꿈시킬 것이다.

스마트팜 전문 인력 양성도 지원하겠다. 지난해 첨단품목특화대학을 총 4개 품목 대상으로 운영했으며, 올해는 7개 품목으로 늘리겠다. 현재 운영 중인 품목은 토마토, 딸기, 양돈, 버섯이며, 올 연말까지 파프리카, 장미, 낙농에 대해서도 품목특화대학 운영에 돌입할 것이다.

 

현재 스마트 온실 보급면적과 스마트팜 기자재 표준화 현황은?

국내 시설원예 스마트팜 보급 면적은 2016년 말 기준 1912ha다. 도입 첫해인 2014년에 비해 보급 면적은 19배 증가했다. 스마트팜의 기능성과 보급 성과, 지원 정책을 농업인들에게 더 적극 홍보해 연말까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팜 기자재는 2016년 말 기준 총 25종에 대한 표준화를 완료했다. 환풍기, 양액 공급기, 관수장치 등 제어기·센서·기타 기기 총 25종의 단체표준을 등록했고, 그중에서 22종은 단체표준 등록제품을 사용할 때만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올해 사업지침에 반영했다. 표준 기자재 사용을 장려해 업체별 호환성을 높임으로써 농가 편의를 돕기 위해서다.

 

스마트팜 도입 농가와 업계에 당부할 말씀은?

ICT를 접목한 스마트팜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다만, 연세가 많은 농업인들은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을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스마트팜을 설치하고도 기능을 100%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간편형 스마트팜은 온·습도 확인과 측창 개폐 등 단순한 기능 위주로 설계돼 있어 고령 농업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전자기기에 친숙한 청장년 농업인들은 복합 환경제어기능을 갖춘 스마트팜을 도입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방법을 충분히 익히는 단계에서 나아가, 제어용 소프트웨어에 축적된 농업 데이터를 해석해 경영 분석에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