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인증제도, 농민을 먼저 생각해야
농산물 인증제도, 농민을 먼저 생각해야
  • 이원복 기자
  • 승인 2017.06.12 0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탄소, 유기농, 무농약, GAP, 지리적 표시제 등 모두 국가 또는 인증된 기관에서 부여하는 농산물 인증이다. 친환경 농법이나 탄소 저감, 우수 관리 등 다양한 기준을 충족한 농산물은 국가 부여한 인증 마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별 지자체마다 자체적인 농산물 인증제도를 시행하는 곳도 많다.

안전한 먹을거리의 중요성이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소비자도 이와 같은 인증 마크를 통해 신뢰를 확보해 가고 있지만 인증 마크를 부여받은 농민 입장에서는 체감상 변화를 느끼지 못하는 부분이 많다.

농민들 대부분은 농업기술원이나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다양한 인증제도를 접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는 소득과 연결될 것이라 기대하며 참여한다.

그러나 친환경 농산물에 많은 관심이 있는 소비자 일부에게만 인식될 뿐 아직까지 일반 소비자들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유통하고 있는 경북 경산시의 한 업체의 말에 따르면 아직도 국내 대형마트의 바이어도 인증 마크를 부여받은 농산물의 장점을 많이 모르고 있다고 한다.

오히려 이 업체는 자체적으로 농산물 포장 상자에 ‘지구를 사랑하는 저탄소 농축산물’이라는 문구를 새겨 저탄소 인증 농산물 홍보에 직접 나섰다. 그런데도 가격은 일반 관행 농산물과 비슷한 것이 아쉽다.

소비들도 인증 마크가 있는 것이, 그나마 뭔가 다르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정확히 구별하는 사람은 소수다. 상품에 붙어있는 마크가 어떤 것인지 알려주는 행사나 광고를 접하지 않고서는 무관심하게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부분으로 보아 아직까지도 인증제도가 온전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고령의 농민들은 스스로 인증 절차를 진행하기도 어렵다.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는다 하더라도 2~3년 만에 인증 마크를 포기하는 농가도 몇몇 생겨나고 있다.

인증 마크를 포기하는 농가에 물으면 대부분은 판로 확보가 쉽지 않을뿐더러 그만큼의 수익이 나지 않다는 것이다. 인증 마크를 받았다면 고소득은 아니더라도 안정적인 수익성은 보장되어야 하지 않을까.

소비자를 위해 안전한 농산물 생산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생산하는 농가 보호가 더 우선일 것이다. 인증 농산물을 유통하는 업체에 정책적인 지원을 늘린다면 그만큼 계약재배가 늘어날 것이고 농민이 좀 더 쉽게 판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인증 제도의 주된 목적이 농가의 소득 증대만은 아니지만 지속적인 농업을 위해 간과해서는 안 되는 요소다. 앞으로 인증제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 증대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