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농업·농촌의 미래 준비 이렇게
급변하는 농업·농촌의 미래 준비 이렇게
  • 농업정보신문
  • 승인 2016.01.25 1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가수익 올리려면 융복합사업”
심재헌 부연구위원은 농가의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는 “융복합사업(6차산업)이 답”이라고 말했다. 이어 “농업만으로는 해마다 증가하는 가계지출 비용을 따라갈 수 없어 융복합사업을 통한 부가가치를 늘려야한다”고 말했다.
일반 농가의 수익률은 32%인데 반해 융복합사업의 수익률은 54.5%로 더 높다. 다른 사업에 비해 부가가치 10억 원당 고용인원이 훨씬 높아 지역 경제 활성화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현 융복합사업 문제점도 동시에 지적했다. 법인 수와 법인매출은 증가세지만 업체 간 매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고 진단했다. 매출액 상위 10% 업체조차 정부 지원금이 절반 정도로 정부 의존도가 높고 고령화로 인한 성과 창출 부족을 요인으로 지목했다.
 귀농귀촌, 농촌에 활력마상진 연구위원은 “귀농은 앞으로 계속될 지속적인 현상이며 귀농
정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귀농·귀촌 초기에 정착을 높일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귀농 인구는 지속해 늘었고 글로벌 경제 침체로 인해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과 베이비붐 세대의 귀농이 이어지리라 전망했다.
역 귀농은 귀농 후 20% 정도이며 역 귀농을 심각하기 고려하는 시기는 3년 이내다. 이에 따라 사회적 관계 지원이 필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인에 대해 정착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귀농인의 70%가 50대 이하며 95%가 고졸 이상, 학위, 자격증 소지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 발전을 위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상진 연구위원은 “귀농·귀촌 직후엔 소득이 감소하나 시간이 지날수록 소득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농업을 포함해 다양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도 늘어난다”고 분석했다.
 

“농촌 주민 삶의 질 향상해야”
농촌주민의 삶의 질 향상 부분은 농촌경제연구원 삶의질정책연구센터장 성주인 연구위원이 ‘변화하는 농촌마을, 미래 정주공간을 준비한다’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성주인 박사는 “마을의 인구변화로 인해 일부 변화가 생기고 마을 공동화 문제가 심화되는 중”이라며 “마을 활성화에는 귀농·귀촌인이 많을수록 주민 공동 활동이 많다는 통계가 나왔다”고 말했다.
또 성 박사는 국민 모두 정주공간으로 느낄 수 있도록 농촌마을 발전을 도모해야하며 물리적 정주기반 지족개선, 개방형 마을공동체 육성, 마을유형별 차별화된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 최윤지 연구원은 “75만명의 다문화가구가 존재하며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정책연구부 연구위원 김정섭 박사는 ‘일자리 없는 농촌, 할 일 많은 농촌’을 주제로 “일자리 감소가 4~50년 전부터 진행되고 있는데 외생적접근보다 먼저 내생적 접근으로 다가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내생적 접근으로 쉬고 있는 노동력을 활용하고 주민에게 접근가능한 일자리 폭을 넓히며, 서비스에 기반한 사회적 환경발전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