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은 ‘만능’이 아니다
스마트팜은 ‘만능’이 아니다
  • 이나래 기자
  • 승인 2017.08.07 09: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전거보다 자동차가 편리하고, 자동차보다 자율 주행차가 뛰어나듯 스마트팜도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팜 분야의 저명한 교수를 만났다. 그는 ‘스마트팜’이란 개념이 추상적이며, 용어 정의가 고정돼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스마트팜이란,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농작물이나 가축의 생육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하는 농업 시설이다. 스마트팜의 효용으로 높은 생산성와 편의성이 꼽힌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농장을 실시간 관찰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원격 제어 기능은 스마트팜의 핵심 기능으로 꼽힌다.

스마트팜의 이러한 편리성은 정부 홍보물에도 강조되고 있다. 마치 스마트팜만 설치하면 농사에서 완전히 해방된다는 식이다. 이처럼 편의성을 강조한 홍보 정책이 반드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은 아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팜 원격 제어가 원활히 진행되려면 빠른 인터넷 속도가 필수인데, 막상 정보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농촌이 많다. 인터넷은 보급돼 있지만, 초당 데이터 전송량이 10MB에 불과한 농촌이 많다는 것이다.

둘째, 원격 제어 자체가 스마트팜 설치 목적은 아니다. ‘농업계의 삼성’이라 불리는 스마트팜 업체 대표에 따르면, 원격 제어 기능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원격 제어도 결국엔 사람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하는 제어인데, 이는 자동 제어와는 다른 개념이다. 생육 환경을 소프트웨어 스스로 자율 제어하는 것과 사람이 기계로 원격 제어하는 것은 다른 개념이기 때문에, 종국엔 자율 복합제어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편리함만 누리기 위해 스마트팜을 도입하는 농업인은 없다. 그러기엔 자금 부담이 너무 크다. 거액을 들여 스마트팜을 도입할 만큼 열정적인 농업인이라면, 사소한 불편함을 마다할 리 없다. 따라서 ‘해외에서도 농사할 수 있다’는 식의 홍보는 자칫 농업인들을 호도할 수 있다고 업계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앞서 언급한 대학 교수가 강조한 사실이 또 한 가지 있다. 시설원예 스마트팜이 제 효과를 내려면, 단동보단 연동 온실이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왜 꼭 연동 온실이어야 하는지 그에게 물었다. “콘테이너 집에 고급 실내 장식을 한다 한들, 좋은 집이라 할 수 있을까요?” 단동과 연동의 차이가 단지 설치금액만은 아님을 잘 나타낸 비유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