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직거래 정부지원 필요하다
농가 직거래 정부지원 필요하다
  • 이나래 기자
  • 승인 2016.10.17 13: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판장 출하와 직거래 중에 선호하는 건 당연히 직거래죠. 농가 수취가격이 2배는 더 높거든요.”

경남에서 사과농사를 하는 농민 A씨는 판로가 다양하다. 공판장 출하, 홈페이지 직거래, 카톡 주문판매…. 직거래 판매가 농가에는 훨씬 더 유리하다. 중간 마진 안 떼이고, 수확 후 택배로 부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직거래 아니면 판매를 못 해요. 소수 작물이라 선과장도 없거든요. 지역 축제 때 갖고 나가 파는데, 없어서 못 팔 정도죠.”

전북에서 백향과(패션푸르트)를 재배하는 귀농인 B씨는 직거래만 100% 한다. 지인이 지인을 소개해 주는 식으로 판로를 텄다. 농업기술센터도 관심을 갖고 지원해줬다. 센터의 배려로 축제장에서 직판을 하곤 한다. 귀농인 지원 차원으로 장소를 마련해 주는 것이라 ‘자릿세’같은 것도 없다.

수도권의 블루베리나, 전남·경남의 한라봉도 마찬가지다. 블루베리는 총 공급량 과잉 지경에 이르렀지만, 주산지가 아닌 지역의 농민들은 가락시장으로 출하를 못한다. 아직 품질을 인정받지못하기 때문이다.

한라봉도 그렇다. 나주에는 약 100명의 한라봉 농민이 있지만, 아직 전용 선과기가 없다. 광주지역 도매시장과 직거래 손님들이 주요 판매처다.

경남 거제의 한라봉, 황금향도 대부분 직거래된다.

“거제산 과일은 조선소 직원들이 많이 사먹어요. 판로 걱정은 오히려 타 지역보다 적은 편이라할 수 있죠.” 거제시농업기술센터 직원의 설명이다. 포도, 한라봉, 무화과 등을 재배하는 거제 농가들은 대부분 주민들이나 지역 농협에 다 팔아버린다. 올 여름 거제산 무화과는 직거래 1kg당 1만원에 불티나게 팔렸다는 후문이다.

일단 직거래 판로를 확보한 농민들은 한결같이 ‘직거래가 더 낫다’고 말하는데, 과연 정부도 그렇게 생각할까?

“산지유통센터와 권역 별 도매센터 운영을 강화해 농민은 생산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하겠다”

지난 2월 국내의 한 과수단체가 개최한 세미나에서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가 한 설명이다. 국내 과일이 공판장이나 생산자단체를 통해 유통되는 비율은 품목별로 41~89%에 달한다. 농식품부는 이런 상황에 대해 개선 의지를 밝힌 셈이다.

물론 올 6월 ‘직거래 법’이 시행돼 농산물 직거래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보완될 점도 없지는 않다. 일부 직거래 지원 조항은 지나치게 추상적인 경향이 있다. ‘직거래 실적이 우수한 지 자체에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다(제9조)’는 조항 등이다.

이미 직거래가 활발한 지 자체보다는, 영농 경험이 짧은 귀농인이나 신규 작목 재배농가들이 많은 지 자체에 대한 지원 조항이 없는 점도 아쉽다. 이들에 대한 정부 지원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