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스마트팜 시대①> 시설원예 스마트팜 4000ha 목표
<지금은 스마트팜 시대①> 시설원예 스마트팜 4000ha 목표
  • 농업정보신문
  • 승인 2016.07.04 10: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7년까지… 시설 현대화 면적의 40%

농림축산식품부는 2017년까지 시설원예 스마트팜을 전국 총 4000ha에 걸쳐 보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전체 시설 현대화 면적의 40%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ICT 장비를 중심으로 시설 업그레이드 지원에 착수했으며, 목표 면적은 600ha다. 또 수출전문 스마트팜 온실 신축사업도 시행할 계획인데, 7월 중 최종 사업 대상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팜 보급 확대 추진 현황은?

정부는 2017년까지 시설원예 4000ha, 축산 농가 730호에 대해 각각 스마트팜을 보급할 방침이다. 축산의 경우 전업 축산농의 10%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정부는 시설원예와 양돈·양계에 집중된 스마트팜 보급사업을 올해 노지 작물과 젖소·한우로 각각 확대해, 관련 모델개발 과제를 선정했다. 올해는 인삼, 대파 등에 대해 스마트팜 모델 개발을 추진 중이다.

◆스마트팜 사후관리 보완책은 ?

지난 1월 시설원예 스마트팜 품질보증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농기계조합이 스마트팜 A/S를 설치 후 2년 간(무상 1년·유상 1년) 보증하는 것이다. 또 지금까지는 설치 업체가 도산하면 A/S를 받을 수 없어 불편을 초래했지만, 이제는 다른 업체가 A/S를 지원하도록 했다.

스마트팜 부품간 호환성도 대폭 보완했다. 그동안 스마트팜 부품은 같은 기능이라도 업체별, 모델별로 디자인이 달라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제어기 9종, 올해 센서류 13종 등 총 22종 부품에 대한 단체표준을 마련했다.

◆스마트팜 연구 현황은?

농촌진흥청은 2014년부터 오는 2018년까지 스마트팜 부문 24개 연구과제를 수행 중이다. 축산 ICT 표준화, 시설 과채류 수확량 예측모델 개발, 포도 병해충 예측기술, 노지 사과 해충관리 기술 등이다. 여기엔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산성 향상 과제도 포함된다. 대규모 벼 재배단지의 스마트 기술 현장 실증, 품목별 1세대 스마트팜 기술의 현장 실증연구, 농업 빅데이터를 활용한 농경지 이용방안 연구 등이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