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기본소득, 국민기본소득의 첫 신호탄 될까?
농민기본소득, 국민기본소득의 첫 신호탄 될까?
  • 이지우 기자
  • 승인 2020.07.07 1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조례안 제출… 보편성 미흡은 과제
지난달 23일 농민기본소득전국운동본부는 국회 정문 앞에서 ‘농민기본소득 입법을 위한 100만인 서명운동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농민기본소득 도입을 본격 추진한 밝혔다
지난달 23일 농민기본소득전국운동본부는 국회 정문 앞에서 ‘농민기본소득 입법을 위한 100만인 서명운동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농민기본소득 도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농산물시장 개방과 농업의 규모 화, 기계화로 인해 영세 농업인의 설 자리는 계속해서 작아지고 있다. 오 롯이 농업을 해서 먹고 살기란 아주 어려운 구조가 되어버린 것이다. 통 계청이 ‘2019년 농가 경제조사’를 보 면 지난해 농가의 평균 농업소득은 1026만원으로 2018년 대비 20.6% 나 줄었다. 농업소득률이 29.8%에 그쳤고, 농외소득은 2.2% 늘어난 1733만원을 기록했다. 농가 경영에 빨간불이 켜졌고, 올해는 코로나19 의 영향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여 전망이 밝지 않다. 


최근 정치권은 물론 사회 전반에 노동의 가치에 대한 재고와, 이를 바 탕으로 한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여야 할 것 없이 기본소득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 에는 의견을 같이 했다. 

지난 2월 출범한 농민기본소득전 국운동본부는 23일 국회 정문 앞에 서 ‘농민기본소득 입법을 위한 100 만인 서명운동 선포 기자회견’을 열 고 농민기본소득 도입을 본격 추진 한다고 밝혔다. 

33개 농민·시민 단체로 구성된 운동본부는 모든 농민에게 월 30만 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농업·농촌의 소멸을 막 으려면 농업의 다원적 가치를 반영 한 농민기본소득 도입이 필요하다 는 이유에서다. 

운동본부는 “유럽은 농업예산의 70%를 농민에 대한 직접 소득보전 에 사용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매년 막대한 농업예산을 쏟아 부어도 농 민소득에 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 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사태로 식량안보가 중요 해진 지금, 농민기본소득은 국민 모 두를 먹여 살리는 일과도 직결된다” 고 강조했다. 

이슈 선점한 경기도, 조례안 마련 

경기도는 농민기본소득 도입에 가 장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도의회 관계자에 따르면 도 집행부는 농민 기본소득 지원에 대한 도지사 책무 와 지급대상, 재정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경기도 농민기본소득 지원 조 례안’을 최근 도의회에 제출했다

이재명 지사가 강한 도입 의지를 보이고 있는 농민기본소득은 농촌 의 빈부격차 해소와 지역경제 활성 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정부의 ‘직불금’이나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농민수당’과 달리 농가가 아닌 개별 농민에게 매달 일정액을 지급하게 된다. 

농민기본소득 지원에 관한 시책을 시행하기 위한 기본계획도 매년 수 립하도록 했는데 여기에는 △지급 대상 △재원조달 △시·군의 재원 분담 △다음 연도 농민기본소득 지 원 계획 등을 포함돼야 한다. 

한편 농민기본소득 추진에 대한 반론의 목소리도 없지 않다. 
경기도 기본소득 추진에 적극적이 었던 원용희 의원(고양5)은 “인구의 2~3%에 불과한 특정직업을 지정해 기본소득을 추진하는 것은 기본소 득의 기본 가치인 보편성을 거스르 는 일”이라고 반대의견을 냈다.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이상이 대표 는 “기본소득의 충분성에 한참 모자 란 농민기본소득보다 복지국가의 사회수당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농 민수당을 확대하는 것이 보다 합리 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