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돋보기]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 시급
[돋보기]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 시급
  • 이태호 기자
  • 승인 2019.10.14 13: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야생 멧돼지 포획트랩 실물모형. 진흥청이 개발해 (주)피스를 통해 실물크기로 제작해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잠시 잠잠하던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아직까지도 경기도 일대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방역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이와함께 관련 축산업계에도 막대한 피해를 끼치고 있는 가운데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야생멧돼지 조사와 관리에 대한 지적 또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지난 3일 경기도 연천 비무장지대(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된 사건은 국민들과 관련 축산인들에게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문제는 이같은 사안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대한민국 한돈산업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일이어서 정부당국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처럼 야생멧돼지가 ASF 전파의 ‘최대 복병’으로 떠올랐는데도 야생동물 관리 주무 부처인 환경부는 뚜렷한 야생멧돼지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전국의 한돈농가들은 허탈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동이 자유로운 야생멧돼지가 ASF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어디로 확산할지 예측조차 어렵기 때문이다.

대한한돈협회 하태식 회장은 "이미 ASF의 최우선 위험요소로 야생멧돼지를 의한 ASF 바이러스 전파를 우려하고, 환경부와 정치권을 대상으로 선제적인 야생멧돼지 개체수 조절을 촉구해 왔다"면서, "이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환경부는 한돈협회가 요구하는 야생멧돼지 지역별 관리 및 적극적 저감 대책을 수용해 ASF 확산 저지에 앞장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돈농가들은 이미 유럽 등 우리보다 ASF를 먼저 경험한 여러 나라를 통해 야생멧돼지가 바이러스 전파의 주범이 됐던 사례를 확인했는데도 환경부가 대책없이 수수방관해 만약에 또다시 야생멧돼지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될 경우 그 모든 책임은 환경부가 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에 한돈협회는 ASF는 국가적 재난으로 규정하고 대통령도 ASF의 남쪽으로 확산을 막는 것을 최우선과제로 지시한 만큼 환경부는 하루빨리 강력하고, 적극적인 야생멧돼지 저감 대책을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환경부 산하에 있는 국립환경과학원 정원화 생물안전연구팀장은 "현재까지 조사결과로는 국내 야생멧돼지나 접경지 하천수가 바이러스에 오염되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야생멧돼지에 대한 질병 예찰을 강화해 더 많은 시료를 확보하고, 접경지역 하천수 등에 대한 조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