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청년농업인 양성, 세밀한 관리 필요한 때
[기자수첩]청년농업인 양성, 세밀한 관리 필요한 때
  • 이상희 기자
  • 승인 2019.02.25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의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인구의 자연감소 역시 도시보다 농촌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이사실이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20년간 농가 호수는 40만 호 이상 줄었고, 농가 인구는 약 440만 명에서 240만 명으로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역사회, 농협은 농촌의 심각한 일손 부족에 대처하기 위해 젊은 피를 수혈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중앙정부는 청년창업농 양성을 위해 최대 3년간 월 100만 원을 지급하고, 1인당 최대 3억 700만 원까지 융자를 지원한다. 또한각 지방자치단체는 창업농 지원센터를 마련해 교육을 시행하고, 재배경작지나 온실을무상으로 임대해주고 있다. 조합원이 감소세에 있는 농협 역시 미래의 조합원 양성을위해 청년농업인을 위해 맞춤형 금융지원,특화 교육, 컨설팅 등 여러 지원 대책을 내놓고 있다.


정부 기관과 농협이 이렇게 청년농업인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한 지원책이 실제로 20~30대 취업희망자에게 농업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실제로 농식품부의 1200명 모집 계획에 2.8대의 1의 경쟁률을 보여 청년창업농 지원책에 대한 인기를 실감케 했다. 이에 따라 기존 정원에 추가로 400여 명을 모집해 지원하기도 했다.


이처럼 농촌의 젊은 피 수혈을 위한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책이 극심한 취업난에 시달리는 20~30대 청년층의 인식전환과 맞물리면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이런 강력한 지원책이 앞으로 실제 농촌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실마리를 제공할수 있을지 살펴보아야 한다.


청년창업농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이 취업이 절실한 젊은 층에 귀를 솔깃하게 하는 제안이지만, 실제 농업에 종사한 경력이 없는누구나 지원해 혜택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업 현장은 결코 쉽지 않은 도전과고난이 기다리고 있다. 실제로 청년창업농사례를 취재 다니며 “체리피킹”(어떤 대상에서 좋은 것만 고르는 행위를 통칭하는 용어)케이스를 흔치 않게 볼 수 있었다. 향후 몇년간의 계획서를 작성해 정부와 지역사회의지원책을 모두 받아내고, 미디어에선 성공사례로 계속해 얼굴을 내밀지만 실제로 농지 경작에는 별 관심이 없거나, 소홀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앞으로 정부의 청년창업농 지원책이 더 많은 청년층의 관심을 끌고 지원자가 늘어날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농업에 대한 진지한 태도와 도전정신보다 과실만을 따 먹기위한 요식행위에는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한 때이다. 청년층에 대한 과감한 지원에따른 기존 농업 종사자의 상대적 박탈감을줄이기 위해서라도 더욱더 그렇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