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원예 스마트팜 엉터리 통계 낸 정부
시설원예 스마트팜 엉터리 통계 낸 정부
  • 이상희 기자
  • 승인 2018.11.14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현권 의원,겹치는 스마트팜 관리,예산낭비 지적

지난해말 농림축산식품부는 시설원예 스마트팜 면적이 4,010ha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데이터는 사실이 아닌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주고있다.

농정원 자료에의하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ICT확산사업을 통해서 스마트팜을 설치한 시설원예농가는 대략 370농가 정도로 2015년 기준 토마토, 오이, 딸기 농가의 평균 시설원예 면적이 1,500평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체 면적을 다 합쳐봐야 200ha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허술한 데이터 관리에 믿기 힘든 통계, 그리고 업무 중복과 혼선에 따른 정부 전담기관의 업무 정체성과 책임 약화가 국내 스마트팜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은 "현재 농정원이 스마트팜 DB연계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선도농가수는 210명으로 2017년말 우리나라 시설원예 스마트팜 농가들이 8,000호에 육박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고작 2.6%만이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자료를 공유하고 있는 셈이어서 빅데이터 분석이라는 낱말을 사용하기에도 부끄러울 정도"라고 지적했다.

농식품부는 이에 10월 지자체에 공문을 보내 농가와 면적을 다시 조사중으로 12월에야 분석데이터가 다시 추출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부 주도 빅데이터 사업의 한계

또한,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촌진흥청이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팜과 빅데이터 사업이 중복으로 추진돼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도 설득력을 얻고있다.

농진청이 스마트팜 표준화부터 생육·실증데이터 DB 표준화, 그리고 빅데이터 수집과 관리, 네터워크 및 서버 운영 등을 맡는다는 것인데, 현재 농정원이 수행하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DB표준화와 데이터 연계, 그리고 서버와 네트워크 관리,농업인 교육 등과 겹치고 있어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일고있다.

이와함께 지난 10년째 자동제어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국내 스마트팜 기술과 빅데이터 개발·운영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팜과 빅데이터를 무엇보다 농민이 현장에서 쓰고 싶고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현장 수요부터 다시금 되살펴야 한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고있다. 

코스닥 금융IT벤처기업 대표 출신으로 충남 홍성군에서 돼지 7,600마리를 키우는 성우농장 이도헌 대표는 "스마트팜과 빅데이터가 서로 조화를 이뤄 동반상승 효과를 누리기 위해선 기관이 기획한 정형데이터가 아니라 다수의 농민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이용자들에게 즐겨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끊임없이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낼 때 스마트팜 운영과 빅데이터 분석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농업 스마트팜과 빅데이터의 활성화를 위해선 무엇보다 농민이 처한 영농현실과 농민이 쓰고 싶은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농민의 이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설계하는 전문가들이 늘어나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